반응형
네이버에서 글자수를 세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. 가장 간단하게는 네이버 검색창에 “글자수 세기”라고 입력하면, 검색 결과 상단에 바로 글자수 계산 도구가 나타납니다. 아래 단계별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검색창을 이용한 글자수 세기
- 네이버에 접속합니다.
- 검색창에 “글자수 세기” 라고 입력 후 검색합니다.
- 검색 결과 최상단에 나타나는 글자수 세기 도구에 글을 붙여넣거나 직접 입력합니다.
- 실시간으로 글자 수, 공백 포함 여부, 단어 수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네이버에서 기본 제공하는 이 글자수 세기 도구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, 별도 사이트로 이동할 필요 없이 바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.
2. 네이버 블로그/카페 포스팅 중 글자수 확인
(1) 블로그 포스팅 시
- 블로그 에디터 내에서 작성 시에는 자동으로 글자수를 보여주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없습니다.
- 글 작성이 끝난 후, 텍스트를 전체 복사(Ctrl + A, Ctrl + C) 하여 앞서 소개한 네이버 검색창 글자수 도구나 별도 글자수 세기 사이트에 붙여넣기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(2) 카페 게시물 작성 시
- 카페 에디터에서도 글자수 표시 기능이 별도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블로그와 마찬가지로, 내용을 복사하여 글자수 세기 도구에 입력해서 확인합니다.
3. 기타 사이트 이용
네이버 검색창 글자수 세기 외에도, 개인이나 업체에서 운영하는 글자수 세기 전용 사이트들이 있습니다. 이런 사이트에서도 복사/붙여넣기를 통해 공백 포함/미포함 글자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4. 마무리
- 네이버 검색창 “글자수 세기” → 가장 빠르고 쉬운 방법
- 블로그/카페 에디터에는 글자수 표시 기능이 없으므로, 작성된 글을 복사하여 글자수 세기 도구에 붙여넣기
- 공백/줄바꿈/특수문자 포함 여부를 주의하여 필요에 맞게 설정
네이버의 글자수 세기 도구는 단순하면서도 즉각적인 확인이 가능하므로, 블로그 포스팅이나 카페 글 작성 시 원하는 규격(예: 500자 내외 등)에 맞추고 싶을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